합덕·당진 투자정보/★ 합덕역 개발자료

[서해선 복선전철 합덕역] 합덕역과 김해장유역의 차이

좋은땅이야기공인 2011. 7. 15. 10:18

 

 

김해 장유역의 예를 들어가며, 합덕역앞의 농림지역에 대한 환지개발을 이미 확정된 일인듯이 주장하는 글을 보았습니다.

 

김해 장유역. ?

 

농림지역(절대농지)를 환지개발해준다는점에 대해 의문이 들어서 직접 문의해보기로 마음먹고

 

 [김해 장유면사무소] : 055-330-8601  로 전화 한통 했습니다.

 

공무원  : " 네. 장유면사무소 000 입니다."

좋은땅이야기 : " 수고하십니다. 장유역이 들어온다는 내덕지구 개발에 대해서 여쭤볼것이 있는데

                         어느부서로 문의하면 되죠?"

공무원: "잠시 기다리십시요. 연결해드리겠습니다"

 

담당공무원 : " 장유면 000 입니다"

좋은땅이야기 : " 수고하십니다. 김해장유역이 들어오는 내덕지구의 경지정리된 논들이 

                   내덕지구가 지구지정 되기전에 원래 농림지역였나요? "

담당공무원 :  " 내덕지구요?.."

좋은땅이야기 : " 네 김해 장유역 들어오는 앞쪽이요" 

담당공무원 : "아니요. 농림지역이 아니라 생산녹지였지요."

좋은땅이야기 : "농림지역인 농업진흥지구가 아니라, 도시지역 생산녹지

                    인 농업진흥지구였단 말씀이지요?"

담당공무원 : " 네 맞습니다"

좋은땅이야기 : " 네 수고하십시요."

 

 

 

역시.. 경지정리된 논이지만, 그곳은 농림지역(절대농지)이 나이라 생산녹지(도시지역)였습니다. 

 

경지정리되어있는 농업진흥지구라고해도 다 같은 농림지역(절대농지)이 아닙니다.

경지정리된 논이 도시지역 부근의 녹지지역안에 들어와 있는경우에는 별도로 생산녹지 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며, 이는 분명 농림지역이 아닌 도시지역토지입니다. 따라서 수용개발보다는 환지개발을 할 가능성이 높고, 김해장유역도 이에 따라 환지방식으로 개발하게 된것이지요.

 

김해장유역앞의 환지개발을하는곳은 예전에도 이미 "도시지역 생산녹지"라는별도의 땅이었던 거지요.

 

아래 이미지에도 분명 나와있군요. 김해장유 내덕지구의 용도지역 결정조서입니다.

보시다시피 용도지역 변경전에 자연녹지와 생산녹지 토지인것을 알수있습니다.

 

 

 

 

 

 

 

 

저희 합덕좋은땅이야기 공인중개사로 합덕역 관련하여 문의주시는 고객들께 저는 이렇게 안내해 드립니다.

 

"농림지역,관리지역등 도시지역 이외의 토지가 강제수용방식으로 개발될 확률은 95% 이상 이고,

만약 운이좋아 그 95%를 벗어나 5%의 범위안에 든다고해도, 

혹자들이 말하는것처럼 농림지역↔상업지역 을 환지로 70~80를 돌려줄 확률은 0% 입니다.

 

(자연녹지를 2종일반주거지역으로 환지해줄때도 45~48% 밖에 안돌려 주는데, 농림지역을 상업지역으로 환지해주면서 70~80%이상 돌려준다는게 가당키나 한소린가요?. 상업지역을 70~80%준다면 주거지역은 100%~150% 이상 돌려줘야 형평성이 맞는건데...이게 얘기가 됩니까? ..

그럼 상업지역,주거지역 일부 등을 분양해서 공사비를 충당해야하는 사업주체는 대체 무슨돈으로 사업을 한단겁니까?)

 

그에반해, 최근 당진군의 개발방향은 도시지역(자연녹지,생산녹지,등)토지는 환지개발을 위주로 하고있습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합덕의 "우강 송산지구" 도 환지개발입니다.

 

따라서 합덕역세권에 투자를 하고 싶으시다면 확률이 0% 에 가까운 농림지보다는 가능성이 높은 도시지역(자연녹지와 생산녹지)에 투자하시는게 유리합니다."

 

단순히 토지가격 상승으로인한 시세차익을 노리고 투자하신다면 가능성이 있지만,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1~200평의 땅이 상업지역으로 환지된다는 인생역전을 노리시고 투자하신다면, 그건 가능성이 너무 낮은 얘기입니다.

 

라고 말합니다.

 

 

 

 

 

고객여러분 모두 성공투자하십시요....